2022학년도 1학기

  • 작성일2023.02.24
  • 수정일2023.02.24
  • 작성자 박*민
  • 조회수140

미사 107 한국미술사

서윤정

, / 16:30-17:45

이 수업을 통해 수강생들은 조각, 회화, 공예, 건축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 전반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다양한 미술 문화와 그 역사적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신석기 시대의 암각화, 삼국시대와 남북국시대의 고분벽화와 불교 미술, 고려시대의 불화와 청자, 금속공예를 비롯하여 조선 시대에 발달했던 산수화, 초상화, 풍속화, 화조화, 인물화, 기록화 등의 서화와 도자와 공예 등 대표적인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한국 문화의 고유한 특성과 미의식을 다양한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한국 미술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과 주제들을 소개하고, 미술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문화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한다.

 

미사 108 문화유산과활용

서윤정

, / 15:00-16:15

이를 위해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과 일본, 유럽 등지에 분포된 여러 형태의 문화재와 문화유산을 소개하고, 이를 문화 콘텐츠의 활용과 응용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수강생들은 이 강의를 통해 문화유산의 가치와 활용 방안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문화재 활용과 문화 콘테츠 제작에 응용하여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본다. 이와 함께 문화유산을 둘러 싼 다양한 쟁점과 논의를 알아보고, 각각의 입장에 대해 비판적 관점을 견지하며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정립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지식을 쌓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사 217 한국도자사

박정민

, / 16:30-17:45

이 수업은 우선 10세기 후반 고려청자의 탄생을 시작으로 고려 시대 청자문화의 성장과 발달 그리고 쇠퇴 과정을 다양한 유물을 통해 파악한다. 중간고사 이후 조선 시대 백자문화의 성장과 변화를 시기별로 탐구한다. 다양한 도자 유물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제작기법과 쓰임에 대해서도 함께 학습한다.

이 수업의 목표는 고려청자와 조선백자를 통해 한국 도자 문화의 전반적인 흐름과 변화상을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실무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도자기 관련 기본 개념과 특징은 물론 개별 유물의 명칭 부여방법 등을 공부한다. 또한 이 수업은 수강생들이 차후 실무환경에서 직접 활용 및 응용 가능한 도자 관련 실무역량의 증진을 추구한다.


미사 219 서양고전미술사1

김호근

13:30-16:15

고대 그리스의 미술, 고대 로마의 미술, 초기 기독교 미술, 중세의 미술 연구. 서양미술사를 파악하는 데에 요구되는 가장 기초적인 지식들을 습득.


미사 302 중국회화사

이주현

, / 13:30-16:45

고대로부터 명대까지 주요 작품을 살펴봄으로써 중국회화의 흐름을 탐구한다. 회화 작품 감상을 통해 중요작가와 작품을 선정하여 그 역사적, 미학적 의의를 살펴보고 회화 작품의 미적 분석 방법, 작품의 질적 수준을 판별하는 방법, 진위 판별법 등을 학습한다.


미사 325 서양현대미술사

이지은

, / 10:30-11:45

20세기는 현대미술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다양한 미술운동이 태동했던 시기로 오늘날의 동시대 미술을 이해하고 앞으로의 미술의 방향을 가늠하는데 가장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이 강의는 1900년부터 1960년중반까지 시기를 각 10년간으로 나누어 20세기의 다양한 미술사조와 미술작품들을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보고, 이를 이해하는 이론적 배경과 비평적 관점들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미사 326 불교미술사

최선아

, / 12:00-13:15

인도에서 시작된 불교미술이 중앙아시아를 거쳐 동아시아 삼국(중국, 한국, 일본)으로 전해지면서 벌어지는 양식적, 도상적, 사상적 변화와 흐름을 살펴본다. 인도, 중국, 일본의 불교 미술이 주요 탐구 대상이며, 한국 불교미술은 한국조각사 수업에서 보다 더 집중적으로 다룬다.


미사 409 사진학개론

박주석

목요일 15:00-17:45

본 과목은 우선 BC4-5세기 경부터 인류에 의해 알려진 카메라 옵스쿠라의 발전과정과 르네상스 시기 카메라의 사용에서부터 근대적 의미의 사진 발명과 전개를 검토하여 각 시기마다 나타난 원근법 및 사진의 개념을 파악하는 내용으로 일부 구성된다. 한편 한국에 사진이 도입되는 과정과 표현의 수단으로 정착하는 시기 이후 현대사진의 미학과 가치를 만든 작가들의 작업과 예술 인생을 검토하여 사진 매체의 본성을 탐구한다.특히 한국에서 사진에 대한 인식체계 및 시각문화적 성격을 이항억, 신락균, 정해창, 현일영 등 사진사의 인물들을 중심으로 살핀다.


미사 426 동시대미술사

이지은

, / 10:30-11:45

1960년대 말 이후로 동시대미술의 다양한 양상들을 사조와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미술사적 지식과 그 이론적 배경을 배운다. 학생들은 서양근대미술사, 서양현대미술사에 뒤이어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미술의 흐름을 접할 수 있으며, 다양한 매체와 장르를 넘나드는 동시대 현대미술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미사 428 한국고고학

, / 10:30-11:45

고고학 분야에서 유물에 대한 해석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선사 시대 이후 인류 문화의 발전은 시기별 도자기와 함께 했다. 그러므로 시대별지역별 물질문화의 핵심인 도자기의 생산 방식과 수준에 대한 탐구는 고고학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다. 도자기 가마의 형태나 과거의 도자기 운송 방식 등을 국내 고고학 유적을 통해 파악하여 고고학과 도자사 사이의 상관성을 이해한다.

이 수업의 목표는 고고학의 기초 개념과 고고학에 있어서 도자 유물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동시에 미술사학 전공자가 적극 활용 가능한 고고학 지식을 학습하고 관련 분야 실무 환경을 이해하며, 미술사의 일부이자 고고학 영역에도 포함되는 도자사의 특징과 확장성을 탐구한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