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1학기

  • 작성일2023.04.25
  • 수정일2023.04.25
  • 작성자 박*민
  • 조회수304

미사 5747 한국미술사

서윤정

, / 12:00-13:15

조각, 회화, 공예, 건축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 전반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다양한 미술 문화와 그 역사적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신석기 시대의 암각화, 삼국시대와 남북국시대의 고분벽화와 불교 미술, 고려시대의 불화와 청자, 금속공예를 비롯하여 조선 시대에 발달했던 산수화, 초상화, 풍속화, 화조화, 인물화, 기록화 등의 서화와 도자, 공예 건축을 대표적인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한국 문화의 고유한 특성과 미의식을 다양한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한국 미술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과 주제들을 소개하고, 미술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문화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한다.


미사 5748 한국도자사

박정민

, / 16:30-17:45

이 수업은 우선 10세기 후반 고려청자의 탄생을 시작으로 고려 시대 청자문화의 성장과 발달 그리고 쇠퇴 과정을 다양한 유물을 통해 파악한다. 중간고사 이후에는 조선 시대 백자문화의 성장과 변화를 시기별로 탐구한다. 다양한 자기 유물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제작기법과 쓰임에 대해서 실제 유물 파편 등도 활용할 것입니다. 더불어 취업 및 실무 환경에 필요한 도자 유물 다루기(포장 및 옮기기)에 대해서도 학기 중 수시로 학습할 것이다.


미사 5749 서양고전미술사1

김호근

12:00-14:15

서양미술사를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 바탕 지식을 습득하는 과목으로 고대 그리스 미술, 고대 로마 미술, 초기 기독교 미술, 중세 미술 탐구하고자 한다.


미사 5750 중국회화사

이희정

, / 15:00-16:15

중국 회화의 역사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 함양과 회화 작품에 대한 심미안을 키운다.

중국 회화사의 학습을 통해 중국과의 교류 속에서 전개된 동아시아 회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진한(秦漢)부터 청대(淸代)까지 중국회화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이해한다.

각 시대별 정치사회문화적 배경과 주요 화가들의 작품들을 살펴보고 중국회화의 흐름 속에 형성된 대표적 화파들과 그 특징을 파악한다.


미사 5751 미술사학사

서윤정

, / 15:00-16:15

19세기 이후 근대적 학문 분야로 정립된 미술사의 다양한 이론과 역사를 탐구하고, 이를 작품 분석에 적용하여 미술 작품에 관한 전문적인 글쓰기 능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술사라는 분과학문의 형성과 역사적 발전 과정을 고찰하고, 작품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유용한 방법론과 이론들을 소개하며 그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여 미술사의 전문 지식을 심화한다. 전통적인 미술사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는 화가의 생애와 전기 분석을 통한 작품의 이해, 작품의 진위 판단과 미술품 감정에 관한 감정학, 작품의 양식적 요소의 분석을 통한 형식주의적 접근, 작품의 상징과 문화적 의미에 관한 도상학과 도상 해석학을 비롯하여, 마르크스주의와 페미니즘, 구조주의와 후기구조주의, 탈식민주의, 정신분석학, 포스트모더니즘 등 철학과 사회학, 젠더 연구 분야 등에서 영향을 받은 다양한 방법론을 소개한다.


미사 5752 서양현대미술사

이지은

, / 13:30-14:45

20세기는 현대미술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다양한 미술운동이 태동했던 시기로 오늘날의 동시대 미술을 이해하고 앞으로의 미술의 방향을 가늠하는데 가장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이 강의는 1900년부터 1960년중반까지 시기를 각 10년간으로 나누어 20세기의 다양한 미술사조와 미술작품들을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보고, 이를 이해하는 이론적 배경과 비평적 관점들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미사 5753 불교미술사

최선아

, / 12:00-13:15

인도에서 시작된 불교미술이 중앙아시아를 거쳐 동아시아 삼국(중국, 한국, 일본)으로 전해지면서 벌어지는 양식적, 도상적, 사상적 변화와 흐름을 살펴본다. 인도, 중국, 일본의 불교 미술이 주요 탐구 대상이며, 한국 불교미술은 한국조각사 수업에서 보다 더 집중적으로 다룬다.


미사 5754 사진학개론

오혜리

월요일 15:00-17:45

본 과목은 우선 BC4-5세기 경부터 인류에 의해 알려진 카메라 옵스쿠라의 발전과정과 르네상스 시기 카메라의 사용에서부터 근대적 의미의 사진 발명과 전개를 검토하여 각 시기마다 나타난 원근법 및 사진의 개념을 파악하는 내용으로 일부 구성된다. 한편 한국에 사진이 도입되는 과정과 표현의 수단으로 정착하는 시기 이후 현대사진의 미학과 가치를 만든 작가들의 작업과 예술 인생을 검토하여 사진 매체의 본성을 탐구한다.특히 한국에서 사진에 대한 인식체계 및 시각문화적 성격을 이항억, 신락균, 정해창, 현일영 등 사진사의 인물들을 중심으로 살핀다.


미사 5755 박물관학과 전시기획

최선아

, / 15:00-16:15

본 수업은 박물관 설립의 역사와 발전 과정을 살피는 동시에, 국내외 유수 박물관에서 기획해 온 주요 전시들을 파악한다. 영국박물관(British Museum), 메트로폴리탄박물관(Metropolitan Museum of Art)을 비롯해 한국의 국립중앙박물관, 일본과 중국의 주요 박물관을 사례로 삼아 심도 있는 리서치를 하며, 각 박물관에서 기획하여 올린 중요 전시를 선별하여 전시의 의도와 방향, 결과 등을 조사한다.


미사 5756 한국고고학

박정민

, / 10:30-11:45

고고학 분야에서 유물에 대한 해석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선사 시대 이후 인류 문화의 발전은 시기별 도자기와 함께 했다. 그러므로 시대별지역별 물질문화의 핵심인 도자기의 생산 방식과 수준에 대한 탐구는 고고학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다. 도자기 가마의 형태나 과거의 도자기 유통 양상을 해저 출수 유물 등을 통해 파악하고, 조선 시대 최대 도자기 소비처인 한양도성의 도자 유물 출토 양상을 파악하여 고고학과 도자사 사이의 상관성을 이해한다. 또한 미술사학 전공자들이 실무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고고학 관련 기본 용어와 제반 지식을 확보한다. 동시에 수강생들은 기초적인 관련 법령을 파악하여 고고학 자료들을 문화자원화 할 수 있는 역량도 도모한다. 수강생들이 고고학 자료가 차후 미술사 관련 진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문화자원이자 인문콘텐츠임을 파악한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